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백신접종 우선순위 알아두기

백신접종 우선순위 알아두기

코로나 백신 소식이 전해지면서 백신 접종 우선순위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있는데요. 이미 백신 접종을 시작한 해외의 경우 접종 순위 새치기하는 현상까지 일어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코로나 확진자가 감소세에 들어서긴 했지만 코로나 백신 접종이 하루 빨리 이루어져야 할텐데요.

백신 접종은 소규모로 장기간 맞게되면 그 효력을 잃게된다고 합니다. 때문에 집단 면역이 생길 수 있도록 대규모 인원이 동시다발적으로 접종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는데요. 그렇다면 누구부터 맞아야 하는기 백신 접종 우선 순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백신 접종 우선 순위 물량 확보는 충분한가

백신 접종은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집단 면역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전체 인구의 60~70%가 접종을 완료해야 합니다. 지난 11월 기준 정부가 확보한 백신 물량은 전체 인구의 88.8%로 집단 면역을 형성할 수 있을만큼 그 물량이 확보되었다고 합니다.

임상 실험 결과가 없었던 18세 미만을 제외하고 백신 접종 가능 인구를 대상으로 보면 그 물량은 104.3%라고 합니다. 때문에 물량에 대한 걱정은 없지만 정부가 공개한 올해 1분기부터 3분기까지 접종을 완료한다는 계획하에 백신 접종 우선 순위를 발표하였는데요.

백신 접종 우선 순위는 집단 생활군과 의료체계 보호를 위한 의료진군, 노인 및 성인 만성질환자 등 고위험군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이러한 백신 접종 우선 순위는 백신별 공급시기와 접종 및 유통 공급 방법등 여러가지면을 검토하여 세부 일정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하는데요. 질병관리청은 다음과 같은 순으로 접종 순위를 확대해 나갈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백신 접종 우선 순위 살펴보면?

▲의료기관 종사자 및 코로나 19 1차 대응요원 ▲집단시설 생활자 및 종사자 ▲경찰, 소방공무원, 군인 등 ▲소아청소년교육, 보육시설 종사자 및 직원 ▲65세 이상 및 성인 만성질환자(19~64세, 중등도 이상 위험)


백신 접종 우선 순위 기준은?

이같은 백신 접종 우선 순위는 당연하다 보여지는데요. 집단 감염 사례가 증가하고 있고 이러한 집단감염시 코로나 전파 속도는 겉잡을 수 없이 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감염자들에 대한 보호와 치료를 맡는 의료진들을 보호해 의료시스템의 붕괴를 막아야하며 코로나에 취약한 고 위험군에 대한 우선 보호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백신 접종 우선 순위는 어쩌면 당연한 것으로 보입니다.


백신 접종은 빠르면 다음달인 2월부터 우선 순위에 맞춰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하루 빨리 백신 공급이 이루어져 집단 면역이 형성될 수 있도록 백신 접종이 되었으면 합니다. 일각에서는 k방역을 외치며 초기 방역 대응에 우수했다는 평이 있으나 뒤늦은 판단으로 백신 공급이 늦어진것이 아니냐는 비판도 있는데요. 하루 빨리 코로나 사태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날이 오길 기대합니다. 지금까지 백신 접종 우선 순위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