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새집 증후군 원인과 증상, 없애는방법

새집에 이사를 가거나 새로 인테리어를 할 경우 항상 따라오는 단어가 새집증후군입니다. 이사의 기쁨도 잠시 이런 새집증후군으로 인해 피해를 보는 사람들도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데요. 인체에도 유해한 요소로 우리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기 때문에 새집증후군에 대해 정확히 아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새집증후군이 무엇인지, 그 원인과 그 증상을 알아보며, 예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새집증후군은 말 그대로 새집, 새 건물에서 나오는 유해물질로 인해 우리 인체가 겪게 되는 여러 증상들을 말합니다. 건물의 건축자재에서 나오는 오염물질이 실내 공기로 배출되고 그 공기를 들이마심으로 인해 인체에 유해한 영항을 끼치게 되는 것인데요. 


새집증후군 원인

아파트 단열과 기밀이 원인의 시초..

그렇다면 언제부터 새집증후군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기 시작한 것일까요? 1970년대 산업화의 발전과 함께 빌딩, 아파트와 같은 고층건물들이 늘어나기 시작했습니다. 이후 2000년대 들어서서 아파트의 단열과 기밀을 강화하는 목적으로 건축물의 내, 외장재를 사용하게 되면서 새집증후군이 시작되었습니다. 실내의 단열성능은 우수했으나 반대로 이런 건축자재들로부터 나온 오염물질이 공기를 오염시키고 그 속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의 건강을 위협하는 문제가 대두되기 시작했습니다.

포름알데히드, 라돈 등 유해물질이 원인..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는 유해물질은 발암성 물질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새집증후군을 일으키는 유해물질로는 콘크리트에서 나오는 라돈, 합판과 단열재로부터 나오는 포름알데히드, 페인트 및 접착제로부터 방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대표적인데요.

특히 라돈의 경우 세계 보건기구가 규정한 1급 발암물질로 자연방사능 물질로 알려져 있습니다. 라돈은 무색, 무취, 무미의 기체로 공기 중에서 오랜 시간 머물면서 우리의 몸속으로 쉽게 흡입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더욱더 주의가 필요합니다. 

시간이 지나면 자연 소멸되지 않나

이러한 유해물질은 시간이 지나면 없어지는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하실 텐데요. 새집증후군 유해물질은 국립환경과학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신축 아파트의 경우 3년이 지나야 유해물질이 대폭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입주 후 3년이 지난 후에 포름알데히드가 65% 감소했으며,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경우 28개월 이후부터 80% 이상 감소되어 안정화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입주 후 초기 2개월까지는 입주자들의 실내 개조 및 새 가구를 들임에 따라서 유해물질의 농도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이는 새집증후군의 유발물질은 단기간에 없어지지 않으며 주변 환경요인에 의해서 그 농도의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새집증후군 증상

증상 심할 땐 구토, 두통 유발할 수 있어

이러한 유해물질로 인해 신축 건물에 초기 입주하는 사람들의 경우 새집증후군의 증상을 보이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눈이 따갑거나 목이 칼칼하고 아토피나 알레르기성 피부를 가지신 분들은 그 증상이 악화되는 증상을 보입니다. 때로는 이상한 맛을 느끼고 속이 메스꺼운 기분이 드는 증상을 겪습니다. 심할 경우 현기증이나 구토, 두통을 유발하며 호흡기 장애 및 피부질환을 발생시키기도 합니다.


새집 증후군 없애는 방법

환기로 없애는 것이 가장 중요

전문가들이 말하는 새집증후군을 없애는 가장 좋은 방법 중 베이크아웃이 있습니다. 실내를 빵처럼 구워낸다는 의미인데요. 가구의 문을 열고 집의 문을 모두 닫은 상태로 35~40도로 장시간 유지한 후 환기시키기를 4~5회 반복하는 방법으로 신축건물의 초기 입주 시에 실시할 경우 새집증후군 발생을 절반가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합니다.

물론 실내 환기를 시켜주는 것도 새집 증후군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정체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깨끗한 공기를 실내로 들임으로써 내부 공기의 순환을 통해 공기질의 향상을 해주는 것인데요. 환기는 베이크아웃을 실시하더라도 반드시 병행해야 되는 단계로 입주 후에도 지속적으로 실시를 해주는 것이 새집증후군을 없애고 줄일 수 있는 방법이 되겠습니다.


새집증후군으로 이사를 두려워하는 거부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기쁜 마음으로 이사 간 집에서 새집증후군을 겪는다면 마음이 많이 아픈데요. 새집증후군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유해물질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어야 하겠습니다. 이상 새집증후군 원인과 증상, 없애는 방법이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