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입춘대길 건양다경 뜻 붙이는 방법

유난히 추웠던 겨울이 가고 이제 봄이 찾아오고 있습니다. 입춘이 되면 항상 따라다니는 말이 입춘대경 건양다경이죠. 봄의 시작이라는 점에서 대충 눈치채셨을텐데요. 오늘은 입춘대경 건양다경 뜻과 붙이는 방법 등 이모저모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입춘대길 건양다경

입춘은 24절기 중 봄이 시작을 알리는 첫 절기로, 새해의 좋은 기운과 경사를 원하는 풍습에 벽이나 문짝과 같은 곳에 입춘방, 입춘첩이라고 써붙이곤 했는데요. 그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입춘대길과 건양다경입니다.

 

입춘대길은 새해의 좋은 기운을 빌며 길운을 기원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고, 건양다경은 경사스러운 일이 많이 생기길 바라고 기원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입춘대길 건양다경은 보통 같이 써서 붙여놓는데요. 두가지 좋은 뜻이 합해져, 입춘을 맞이해 길운을 뜻하고 봄이 시작되니 크게 길하고 따스한 기운이 감도니 경사스러운 일이 많을 것이라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입춘이 되면 집안 이곳저곳에 입춘첩을 써 붙여 집안의 번영이나 장수등을 기원하곤 했는데요. 한지 두장에 입춘첩을 적어 집대문이나 기둥 등에 여덟팔자로 붙였다고 합니다. 

 

 

 

입춘 점치기

입춘은 새해의 시작인 봄의 시작점이기 때문에 농경의례와 관련된 행사가 많은데요. 입춘이 되면 그 해 농사의 풍년과 흉년을 점치기도 했는데 과거에는 보리뿌리점을 뽑아 세가닥이상이면 풍년이고, 두가닥이면 평년, 한가닥이면 흉년이 드는 것으로 보기도 했습니다.

 

 

 

입춘대길 건양다경 외에

입춘에 붙이는 입춘첩에는 입춘대길 건양다경 외에 다른 문구도 많이 쓰이고 있는데요. "국태민안 가급인족"이 있습니다. 이는 나라는 태평하고 백성은 편안하며 집집이 넉넉하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개문만복래 소지황금출"이라 하여 문을 열면 복이 들어오고 땅을 쓸면 황금이 나온다라는 의미를 담아 입춘첩을 쓰기도 했다고 합니다. 이 외에도 부모는 천년을 장수하시고 자식은 만대까지 번영하라는 "부모천년수 자손만대영"이라는 문구도 있습니다.

 

 

 

입춘을 맞이하며

2021년이 시작된지 벌써 한달이 지나갔습니다. 올 한해의 행운을 기원하며 봄을 맞을 준비를 하시는 건 어떨까요. 오늘은 입춘대길 건양다경 뜻과 붙이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