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로 아이를 키우는 한부모가정이라면 2021년 한부모가정에 대한 지원 혜택과 자격조건을 꼼꼼히 살펴보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한부모가정이 된 사연은 사별부터 이혼, 계획적이었거나 원치 않았거나 등 다양하지만 한부모 가정이 겪는 어려움은 모두 동일할 텐데요.
오늘은 한부모가정에게 희망이 될 수 있는 내용을 준비했습니다. 2021년 한부모가정 지원 혜택과 자격조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부모가정 지원 혜택 여가부
한부모가정
한부모가정은 홀로 아이를 키우는 가정을 뜻하죠. 일반 가구의 7%를 차지할 정도로 그 비중은 적지 않은데요. 요즘 치솟는 집값과 교육비 등으로 아이를 양육하는 게 경제적 여건이 따르지 않으면 어려운 게 사실입니다.
대부분의 일반가정에서도 부모의 맞벌이를 해도 아이 둘 키우기 힘들다고 할 정도지만, 홀로 아이를 키워야 하는 한부모 가정의 경우 그 어려움이 더 클 수밖에 없는 게 사실입니다. 때문에 정부에서 지원하는 지원 혜택에 대해 꼼꼼히 챙기셔야 경제적인 어려움을 그나마 덜 수 있을 텐데요.
실제로 이런 한부모가정의 월평균 소득은 지난 2018년 기준 일반 전체 가구 평균의 56% 정도로 220만 원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혼자 살기에도 어쩌면 부족할 수 있는 비용이 아닐까 하는데요.
여성가족부
여성가족부에서는 이런 어려움에 있는 한부모 가정에 대한 경제, 교육, 의료, 주거 등의 지원을 통해 한부모 가정이 처할 수 있는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정부에서 지원하는 사항 외에 지역별로 추가 지원되는 부분이 있으니 자신의 주거 지역에 대한 추가 정보를 확인하여 모든 혜택과 지원을 받는 것이 좋겠습니다.
한부모가정 지원 혜택 2021년 확대
2021년 한부모가정 지원사업
한부모가정 지원사업은 저소득 한부모 가정에 대해 건강하고 문화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생활 안정과 자립기반 조성 및 복지 증진을 목표로 경제, 교육, 사회, 주거 등 모든 분야에서 지원하고 있는 사업인데요.
매년 그 혜택이 증가하고 많은 한부모 가정이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개정되고 있습니다. 올해 주요 내용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021년 한부모 가정 소득인정액 기준 확대(단위: 원/월)
높아진 최저임금 및 불가피한 경제활동으로 한부모가정 소득 인정액 조건이 맞지 않아 안타깝게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에 한부모가정 소득인정액 기준이 확대 적용됩니다.
- 2020년 기준 중위소득 2인(22,991,980), 3인(3,870,577), 4인(4,749,174), 5인(5,627,771)에서
- 2021년 기준 중위소득 2인(3,088,079), 3인(3,983,950), 4인(4,876,290), 5인(5,757,373)으로 변경, 확대됩니다.
아동양육비
2021년 5월부터는 중위소득 30% 이하인 생계급여를 받고 있는 한부모가정에 월 10만 원의 아동양육비가 지원되며, 경제적 활동이 어려운 청년 한부모 가정을 위해 추가 아동양육비를 34세 이하까지 상향하여 지급하는 등 지원 대상을 확대됩니다. 청년 한부모 가정(만 25~34세)의 경우 만 5세 이하 자녀 1인당 월 10만 원, 만 6~17세는 월 5만 원의 혜택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거혜택
한부모가정의 경우 경제적 어려움 때문에 주거 환경이 대부분 좋지 않죠. 열악한 환경에서 거주하는 경우가 많을 텐데요. 이런 주거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해 월평균 20만 원으로 거주할 수 있는 임대주택 지원 혜택이 주어지며, 입주할 수 있는 기준도 60%에서 100% 이하로 완화된다고 합니다.
아이 돌봄 지원
한부모가정은 홀로 아이를 키워야 하기 때문에 경제적 활동을 안 할 수가 없는 상황인데요. 일하러 나간 사이 홀로 남겨진 아이를 돌봐줄 서비스도 상향된다고 합니다. 중위소득 75% 이하의 한부모가정이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정부 지원이 5% 상향되어 최대 90%까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코로나와 비대면 언텍트 교육으로 인해 원격 수업이 실시될 경우 연간 정부 지원 시간과는 별도로 오전 8시~오후 4시까지 아이 돌봄 서비스를 추가할 수 있다고 합니다.
비양육부모에 대한 제한 조치
이혼이나 다른 이유로의 비양육부 모가 있는 경우 양육비를 지원해야 하지만 고의적으로 이를 지급하지 않을 경우 운전면허 정지, 명단 공개, 출국금지까지 요청할 수 있다고 합니다. 작년 기준 양육비 이행률은 36%대로 저조한 편으로 이에 대한 행정처분을 강화해 한가정부모에 대한 지원 혜택을 강화한다고 합니다.
2021년 한부모 가정 지원 혜택 상세
2021년 한부모 가정 지원 혜택과 더 완화된 자격 기준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이번 내용에서 전부 다루지 못한 내용도 많습니다. 조금만 두루 챙겨보면 많은 도움이 될 만한 내용이 있으니 한부모가정이라면 꼭 이러한 지원사업을 꼼꼼히 챙기시어 혜택을 받고 경제적 부담을 줄였으면 합니다.
더욱더 자세한 내용은 여성가족부 홈페이지 사이트를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http://www.mogef.go.kr/)
http://www.mogef.go.kr/
www.mogef.go.kr